사회위키거액결제 소액결제 수단 비교

거액결제 소액결제 수단 비교

거액결제시스템

― 거액지급결제시스템은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간 거래에서 사용되는 전자지급결제시스템으로, 결제금액이 거액으로 모두가 전자자금이체방식에 의해 결제되는 것으로 주로 각국의 중앙은행이 운영
○ 거액결제시스템은 그 거래금액이 크기 때문에 주로 매 지급결제마다 즉시 처리되는 총액결제시스템을 사용
○ 결제시스템 참가기관은 결제를 위하여 중앙은행에 당좌계정을 개설하고 이 계정을 통한 계좌이체로 결제가 완성
○ 하루 중 결제금액이 부족할 경우, 중앙은행의 신용공여로 자금이 결제되거나, 일정 시점에 일괄하여 금융기관간 결제차액만을 결제하는 이연차액결제시스템이 사용되기도 함

― 국가별 RTGS 거액결제시스템의 필요성
○ 결제리스크의 원천적 제거: 개별 자금이체 신청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결제의 완결성(settlement finality) 부여
○ 금융기관의 자금수급 예측 및 관리 능력 향상: 전국 본.지점의 자금수급 상황을 상시 파악
○ 단기자금시장 활성화: 거액 자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체 가능하여 단기자금 거래량 증가
○ 통화신용정책 수행업무의 효율성 제고: 한국은행의 국공채 발행업무와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거래가 실시간으로 작동
○ 신속한 정책대응: 금융기관간의 자금흐름의 상시 모니터링 가능
○ 금융기관의 업무 부담 경감 : 금융기관간 대량의 거액자금 결제업무를 전자방식에 의하여 신속히 처리

소액결제 수단

  1. 현금

― 현금은 소액거래에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지급수단으로 지폐(은행권)와 주화로 구분
○ 소액의 경우 현금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나 액수가 커질 경우 운반과 보관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금이외의 수표나 계좌이체 등의 수단이 사용

― 금융시장과 제도가 발달한 국가일수록 현금이외의 다른 지급수단을 사용하여 대금을 지급
○ 따라서 대체로 저소득 국가 일수록 현금/소득의 비율이 높고, 고소득 국가의 경우 현금/소득의 비율이 낮음

  1. 어음과 수표

― 어음은 발행인이 그 소지인이나 그 밖의 적법한 소지인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약속어음)하거나 발행인이 제3자에게 지급을 위탁(환어음)하는 증서로 주로 기업간 신용공여 및 지급수단으로 이용

― 수표는 발행인이 지급인인 은행에게 수취인이나 그 밖의 적법한 소지인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해 달라고 위탁하는 지급위탁증권

― 어음과 수표 보유자가 이를 금융기관에 제시하면, 이 금융기관은 어음발행자의 금융기관에 이 어음과 수표를 제시하고, 적접한 어음이나 수표일 경우, 발행자 금융기관이 어음보유자의 거래 금융기관에 대금을 지급
○ 어음과 수표는 특정 양식의 종이에 필요한 금액을 기록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많은 현금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임
○ 그러나 보유자가 제시후, 발행인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인도 받기까지 일정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금에 비하여 자금을 받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
○ 따라서 어음과 수표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려면 금융기관들이 상호 보유하는 어음을 다른 금융기관에 제시할 수 있는 어음교환소가 발전하여야 하고, 이것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함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