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위키계좌 기반 지급 수단의 종류

계좌 기반 지급 수단의 종류

계좌 기반 지급 수단

(1) 인터넷뱅킹
― 고객이 자신의 PC와 인터넷을 통하여 금융기관의 컴퓨터에 접근하여 각종 금융서비스를 사용하는 것
○ 즉 PC를 보유한 고객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연결가능한 경우, 자신의 은행계좌에 접근하여 잔고확인, 계좌이체, 송금, 대출신청 등의 은행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

― 인터넷뱅킹이 활성화되려면 (1) 고객이 PC를 보유하고, (2) 금융기관이 인터넷으로 금융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며 (3) 금융기관과 고객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야 함
○ 따라서 고객은 PC를 보유하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
○ 1995년 SFNB가 미국에서 인터넷전업은행으로 시작하면서 등장하였으나 이후 오프라인 은행이 자신들의 각종 은행서비스를 온라인에서 제공하면서 최근에는 거의 모든 선진국 은행들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제공

(2) 온라인 지급결제
― 온라인상의 각종 상품과 서비스 구입시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및 금융기관 사이에 PG 업체가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연결
○ 판매자는 PG업체와 연결하여 판매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금융기관 계좌를 보유하고 구매자 역시 금융기관 계좌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함
○ 구매자는 상품을 구매하고, 컴퓨터상의 대금지급(check out) 항을 클릭하여 자신의 이름 및 기타 정보를 PG 업체의 컴퓨터로 전달
○ 이후 고객의 PC에 PG 업체의 컴퓨터 화면이 제시되고, 고객은 은행계좌 및 PW나 혹은 신용카드 번호를 PG업체가 제공하는 화면에 기입
○ PG업체는 대금지급정보를 상점 및 금융기관에 송부
○ 판매자는 PG업체로부터 금융기관 계좌로 대금을 받고 금융기관은 구내자의 계좌에서 자금을 인출

― 온라인결제가 이루어지려면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할것임
○ 즉 구매자나 판매자 모두 PC를 보유하고, 금융기관과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어야하고, 온라인 상의 거래를 원활하기 이루어지기 위한 관련 암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
○ 그리고 이러한 비지니스가 성공하기 위한 일정 수의 수요가 존재하여야 함

(3) 모바일뱅킹 및 무선결제
― 모바일뱅킹은 크게 (1) 금융서비스 사용자가 무선기기를 사용하여 금융기관 컴퓨터에 접근하여 각종 금융서비스를 사용하는 것과 (2) 휴대전화 과금 부과서비스 (3) 이동통신사의 계좌를 활용하여 대금을 송부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

― 사용자가 금융기관 컴퓨터에 직접 접근하여 각종 금융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은 주로 무선기기에 암호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칩을 포함하여, 칩방식으로 불리움
○ 이는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 은행의 계좌이체와 잔고확인 등의 뱅킹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
○ 또한 전화기에 포함된 칩의 메모리기능을 이용하여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기능을 수행하고, 직접 ATM기기에서 현금을 인출하는 기능을 수행

― 이 방식이 활성화하려면 (1) 사용자가 무선기기를 갖고, (2) 이동통신사의 네트워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3) 금융기관과 이동통신사가 결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 실제로 유선을 사용한 금융서비스는 각종 인프라 시설은 고정되어 있고 고객이 이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 무선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없음
○ 결국 이 서비스는 은행계좌에 기반을 둔 서비스와 이통사 계좌에 기반을 둔 서비스로 구분되어 전자의 경우 금융기관과 이동통신사의 협력이 매우 필요
○ 따라서 모바일뱅킹은 이동은행보다 발전된 것으로 주로 은행 지점에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필요

― 휴대전화 과금부과 방식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이에 대한 과금을 휴대전화 요금에 청구하는 방식
○ 이 방식은 후불제로 전화요금을 납부하는 방식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신용보증이나 신용검사제가 잘 발달된 선진국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
○ 즉 이동통신사가 휴대전화 사용대금을 후불식으로 결제하려면 사용자에 대한 신용검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여야 할 것이나 개도국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이 정립되어 있지 못함.

―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바일뱅킹은 SMS 계좌 이체는 대금납무자가 휴대전화망을 통하여 상대편의 휴대전화번호로 대금을 송금하고, 이의 결과를 문자메세지로 통보하는 시스템
○ 통보받은 대금수취자는 근처의 이동통신사 지점이나 은행을 방문하여 현금을 찾음
○ 이는 수수료가 작고 또한 매우 간단하게 송금정보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개도국에서 매우 쉽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

― 필리핀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모바일뱅킹은 은행계좌를 갖기 않은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대금 송금수단이 되어 있음
○ 필리핀에서는 G-cash(2004년), SMART(2003년) 등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WIZZIT(2004년) 등의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인도양의 섬나라 몰디브는 2007년부터 세계은행 차관을 비롯한 1055만 달러를 차입하여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준비중
○ 이는 국가 지급결제시스템 개선을 위한 통신사와 금융기관간의 협력과 이를 통한 시스템 개설 및 직원 교육과 홍보, 각종 법률 제도 개선 등을 포함
○ 몰디브는 인구 30만명이 1190개의 섬중 약 200개에 산재되어 100여개의 리조트에 의존하는 경제로 은행지점을 많은 섬에 개설하기 매우 어려운 형태이며 실제로 인구의 약 65%만이 은행을 이용하는 단계
○ 은행개설 계좌를 무선전화로 접근하는 것 뿐 만 아니라 휴대전화 에이전트를 통하여 통신기반 계좌(telephone based account)를 개설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지급결제서비스를 하는 것을 포함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