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유주택(Shared House)
◦ Share하는 건물/대상에 따라 houseshare/ apartmentshare/ Roomshare
◦ Roomshare를 하고 있는 집을 Shared House라고 부르며, 일본어로 쉐어하우스(소위 업자가 운영하는 독신자기숙사와 같은 Guest House)로 변형하여 사용함.
◦ Roomshare는 현관 · 거실 · 부엌 · 화장실 및 욕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하고 침실은 각 개인의 점유공간이 됨. 취사나 세탁 등의 가사에 대해서는 모두 일제히 사용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각 개인이 자신의 작업을 공용부엌이나 세탁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보통.
◦ 미국과 영국, 북유럽, 독일, 호주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고, 인구 과밀로 주택 사정이 나쁜 것으로 알려진 홍콩, 타이베이, 싱가포르 등 아시아 대도시에서도 행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도입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룸 쉐어’라는 말이 공유의 모든 경우를 가리키는 용어로 정착하고 있지만, 실은 영어에서는 “roomshare”라는 말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사전에 따라서는 실려 있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음.
◦ 일본은 ‘쉐어형 주택’이라는 개념으로 1인 가구를 위해 다양한 주택을 공급하고 있음. 쉐어형 주택 유형은 호텔과 주택의 중간 영역대를 위한 주택으로 룸쉐어, 하우스쉐어, 게스트 하우스, 밍글아파트, 하우스웨어링 등으로 나눌 수 있음.
◦ 쉐어형 주택은 거주 기간에 따라 1개월 이하의 단기간은 도야(간이 숙박소), weekly 맨션, 1년 이하의 중장기는 레지던스 호텔, monthly 맨션, 게스트 하우스, 1년 이상 장기거주는 원룸맨션, 밍글아파트, 룸쉐어 등이 있음. 특히, 소득수준에 따라 임대료가 높은 레지던스 호텔부터 임대형 맨션, 밍글아파트, 룸쉐어, 하숙 순으로 다양한 주거유형이 공급되고 있음.
- 룸쉐어 :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유닛을 빌려 혈연관계가 없는 거주자들이 동거하는 형태, 개인실과 공용실(LDK, 욕실·화장실 등)은 공동이용
- 하우스쉐어: 룸 쉐어와 유사한 공간구성이용이지만, 집 한 채인 경우 하우스쉐어, 쉐어드하우스, 쉐어하우스로 불림.
- 밍글아파트: 동성 친구 2인이 공동 생활하는 형태. 개인실은 열쇠로 관리, 부엌 · 욕실은 공동 사용, 광열비 공동이용가능비품은 반반 부담
- 하우스쉐어링 : 도시재생기구가 행하는 룸 쉐어타입, 이사율, 공가율이 높은 가족형 주호를 1인 가구에게 임대하는 유형
◦ Guesthouse와 차이
- Guesthouse는 기숙사 및 독신자 기숙사에 가까운 이미지로, 게스트 하우스에서 주로 공유 부분은 관리인이 청소를 해 주거나 쓰레기를 버려 주기도 하므로 룸 쉐어 보다 장점이 있음.
- 객실은 “방만” 있고 샤워나 주방은 공동임. 개실인 것도 있고, 한 방에 침대가 많이 있고 모르는 타인과 5,6명이 잠자는 것도 있으며, 남녀의 구분 없이 새우잠을 자는 곳도 있음. 룸 쉐어와 공통점도 많고, 보증금과 사례금이 없고, 부담 없이 드나들 수 있는 것이 장점. 일본에서 게스트 하우스는 도내 각지에 있는 것으로, 특징은 “싼” “단기 체류 가능” “오래되고 / 더러운”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그 중 게스트 하우스의 경우 도심을 중심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데 동경, 가나카와, 사이타마, 치바현 중심으로 1990년에는 불과 2건이었던 게스트하우스가 2007년에는 429건으로 증가함. ]
(2) 코 하우징(Co-housing)
◦ Co-housing/Collective Housing
: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면서도 안전성이나 풍부한 인간관계, 자녀 양육이나 가사노동 에 대한 편의나 상호부조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택과 서비스를 조합시켜 건설된 협동거주형 집합주택 巽和夫,現代ハウジング用語事典, 彰国社 1993, P52
(3) 코퍼라티브 하우징
◦ Cooperative Housing
: 스스로 거주하기 위한 주택을 건설하고자하는 자가 조합을 결성하고 공동으로 사업계획을 정하고토지의 취득, 건물의 설계, 공사발주, 기타 업무를 실시하고 주택을 취득하고 관리 해 가는 방식 상게서, P46
(4) 동호인 주택
◦ 같은 직업, 같은 취미, 같은 직장, 친구 동료 혹은 친지 등이 모여 공동으로 작은 단지를 형성하고 입주하는 형태. 공동설계와 시공으로 건축비를 절약할 수 있음.
(5) 땅콩주택
◦ 한 필지에 닮은꼴로 합벽하여 지은 2가구 주택, 마당공유, 듀플렉스 홈이라고도 함.
(6) 서비스드 레지던스(serviced Residence)
◦ 호텔의 서비스와 주거공간이 결합된 주거형태로 싱가폴, 런던 등과 같이 외국인의 왕래가 잦은 도시에서 장기투숙객을 위한 공간 주거형 오피스텔의 변형으로 주거공간과 입주자를 위한 서비스를 호텔 수준으로 제공해 주는 주거형태를 지침함.
◦ 호텔과 집, 오피스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국내에도 약 50개가 넘는 시설이 운영 중에 있음.
(7) 새로운 주택유형의 종합
◦ 새로운 주택유형은 최근 인구구조, 자족구조, 사회변화 및 업무의 변화 등에 따라 기존의 일반적인 주택유형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고려하여 나타나고 있는 유형임. 기존의 건설 프로세스의 문제점 개선, 주택가격의 상승에 대응, 주거와 업무와 서비스 기능의 결합 등 다양한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고 있음.
◦ 새로운 주택유형으로 공유주택, Co-housing, 코퍼라티브 하우징, 동호인 주택, 땅콩주택, 서비스 레지던스 등 다양한 유형이 나타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