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위키금융중개기관의 역할과 정보생산 기능

금융중개기관의 역할과 정보생산 기능

금융중개기관(Financial intermediaries)의 역할

□ 금융중개기관의 정의: 금융중개기관은 금융자산의 매매와 매수에 특화된 경제주체임 (Financial intermediary is an economic agent who specializes in the activities of buying and selling (at the same time) financial claims)

ㅇ 산업조직론에서의 중개자(intermediary or retailer)와 유사한 개념으로 거래비용(transction techonology)의 friction의해 등장함.

ㅇ 마찰이 없는 완전금융시장에서는 투자자와 차입자 모두 완전분산이 가능하고 최적의 위험공유를 달성할 수 있음 (frictionless and complete financial market, both investors and borrowers would be diversify perfectly and obtain optimal risk sharing).

ㅇ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이 사라진다고 금융중개기관이 필요없어지는 것은 아님.

□ 가장 근본적인 거래비용(fundamental form of transaction cost)은 정보의 비대칭성: 1) 사전적(ex-ante): 역선택(adverse selection), 2) interim: 도덕적해이(moral hazard), 3) 사후적(ex-post): 상태확인의 비용(costly state verification)

ㅇ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비용은 시장의 불완전성(market imperfection)을 야기

금융중개회사의 정보 생산 기능

□ 은행 등 금융중개회사(financial intermediaries) 및 금융시장은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다양한 비대칭 정보 문제를 완화‧해결함으로써 양자를 중개.

ㅇ 최근의 은행이론 및 금융중개이론들은 이와 같이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다양한 비대칭 정보 문제를 완화‧해결하는 것이 핵심적인 금융중개기능이라는 데 별 이론이 없음.

ㅇ 금융중개회사 및 금융시장은 비대칭 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용분석‧평가, 대출 사후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자금공급자가 직접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비효율적이기 때문.

ㅇ 특히 은행은 대표적인 정보 생산자로서 은행대출은 비대칭정보 하의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신호(signal)로 작용하며 자본시장 등 금융시장은 은행과 다른 방식으로 신용평가 및 모니터링 기능 수행.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