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적 특징

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적 특징

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적 특징

정치 경제 및 사회 구조

― 동아시아에는 대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과 같은 국가가 있는 반면, 수천 개의 섬으로 구성된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이 포함
○ 한편 베트남, 태국, 미안마,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의 국가들은 열대지방의 인도차이나 반도에 속해있음

― 온대지방에 속해있는 중국, 한국, 일본이 있고, 열대지방에 속해있는,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등이 있음

― 정치 및 경제체제 면에서 자본주의, 민주주의 시스템을 표방하는 국가가 있는 반면, 공산주의 국가가 공존하고, 일부는 입헌군주제 국가임
○ 중국, 베트남, 라오스는 정치적으로 공산주의 국가이면서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는 과정
○ 말레이시아, 태국 등이 입헌군주제를 채택
○ 캄보디아는 1990년대까지 오랜 내전으로 정치적으로 불안한 과정을 겪었고, 미안마 등은 현재 군부독재 체제에 있음
○ 한편 인도네이사,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세안의 선도국가들은 민주주의 시장경제시스템을 채택

― 종교적으로 불교가 국교인 태국, 캄보디아, 이슬람교가 국교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캐톨릭이 다수인 필리핀, 유교적인 전통이 강한 중국 등 다양한 종교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국가로 구성
○ 이러한 종교적인 차이점은 각 국각의 정치 및 사회체제의 차이로 나타나 경제정책이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많은 차이점을 가질 수 있음

― 이러한 다양한 소득 및 지리학적 조건에 따라 경제발전 속도 및 방식이 다르게 전개됨

― 동아시아국가들의 경제규모 및 소득을 살펴보았을 때 가장 큰 특징은 구조의 다양성임
○ 동아시아에는 경제규모면에서는 세계 인구 13.2억 명이고 연간 GDP가 2646조 달러인 중국과 인구 1.3억명에 연간 GDP가 4364조 달러인 일본이 포함되어 있음
○ 반면, 경제규모면에서 연간 GDP가 35억 달러에 불과한 라오스와 61억 달러에 그친 캄보디아 등이 포함
○ 1인당 소득면에서도 연간 36,126달러인 수준인 일본과 싱가폴이 포함된 반면, 최빈국 수준으로 436달러와 572달러인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이 포함

― 산업구조에서 최빈국인 캄보디아, 라오스 등과 도시국가인 싱가포르, 아세안 중심국가인 태국, 말레이시아의 산업구조가 매우 차이를 보임
○ 캄보디아, 라오스는 1차 산업의 비중이 각각 32.9%, 47.0%를 차지하고,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아세안 중심국가들은 9.9%, 8.4%에 를 기록
○ 2000년 이후 경제개발에 따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등 최빈국들의 1차 산업비중이 3∼7%p 하락하였고, 2차 산업의 비중이 크게 증가
○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의 중심 국가들은 1차 산업비중이 정체된 가운데 3차 산업의 비중이 하락하고, 2차 산업의 비중이 소폭 상승
○ 싱가포르는 무역과 금융에 기반을 둔 도시국가이므로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음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