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위키동아시아 국가의 전자금융 시장 현황

동아시아 국가의 전자금융 시장 현황

동아시아 국가의 전자금융 시장 현황

분석방법론

― 동아시아 각국의 전자금융을 제2장에서 제시한 발전단계별로 구분
○ 제1단계: 업무자동화, 제2단계: 네트워크화, 제3단계: 서비스채널의 다양화, 제4단계: 지식정보산업화의 4단계로 구분

―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 및 지정학적인 특성상 위의 4단계로 정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함
○ 한국은 IT기술의 도입과 경제성장이 수십년 동안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였음
○ 그러나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는 최첨단 IT 기술과 매우 낙후된 기술이 공존하여 사용되고 있고, 소득수준이 최근에야 일정 수준에 오르는 특성을 보여 위의 단계라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
○ 예를 들어, 베트남은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첨단 지급결제서비스가 활용되는 반면, 은행별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ATM 보급률도 매우 낮은 상태
○ 싱가폴은 은행간 ATM 네트워크가 없어 특정 은행발행카드는 특정은행 ATM에 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싱가폴이 작은 도시국가이기 때문에 개별 은행이 ATM 기기를 필요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그렇게 크게 비용이 수반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임.

베트남

― 베트남은 현재 1단계 후반인 것으로 평가
○ 중앙은행이 주도하여 일부 상업은행들을 연결하는 은행간 전자결제시스템(inter-bank payment system, IBPS)과 은행 본지점간 온라인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1차 지급결제시스템 및 은행현대화 프로젝트’가 2003년에 마무리
○ 도시에서는 ATM 기기가 여러 곳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시골에서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않았고, 금융기관간 ATM 네트워크가 일부 형성되어 있음
○ 은행 본점 지점간 온라인이 상당부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은행간 소매 결제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표 사용이 미비하고 현금사용 빈도가 높음

― 베트남 중앙은행은 모든 성 및 직할시에 지점을 보유하고, 발권업무 및 어음교환 및 은행간 결제기능을 수행
○ 1988년 이전까지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에 입각하여 중앙은행의 기능보다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발권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었음
○ 1988년 금융개혁조치로 상업은행 업무를 농업개발은행(Agricultural Development Bank)과 공상은행(Bank for Commerce and Industry)로 이전하면서 비로소 중앙은행의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
○ 1990년 10월 신은행법에 따라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등 중앙은행의 고유기능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

― 베트남의 주요 은행으로는 4대 대형 국영은행과 메콩주택 개발은행(Mekong Housing Bank) 등 5개 국영은행이 있으며 이들은 국가가 100% 출자하여 전국에 지점을 갖고 은행 업무를 수행
○ 이들 5대 은행은 2006년 5월 현재 전국에 2600개의 지점을 보유하고, 금융기관 전체 자산의 60%, 대출의 63%를 차지
○ 대외무역은행(Bank for Foreign Trade of Vietnam: Vietcombank): 1963 설립되어 외환업무를 전담하고, 제조업 및 무역업체를 지원
○ 농업은행(Vietnam Bank for Agriculture)은 1988년에 설립되어 농촌개발을 위한 자금조달과 공급 업무를 담당
○ 공상은행((Industrial & Commerce Bank of Vietnam: Incombank)은 베트남 산업발전을 위한 자금조달업무를 담당하고,
○ 투자개발은행(Bank for Investment & Development of Vietnam: BIDV): 1963년에 설립되어 공공투자를 위해 국영기업에 중장기 자금지원 업무에 집중

―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규제가 많은 37개의 Joint Stock Banks(JSB, 합작은행) 와 Foreign Banks(외국은행지점)가 운영중
○ JSB는 지점수나 업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개별 점포수가 현재 6∼80개 내외이고, 주로 도시지역에서 업무를 수행

캄보디아

― 캄보디아는 2007년 현재 금융발전의 1단계 초기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평가
○ 전반적으로 국민들이 은행을 이용한 금융거래에 익숙하지 않고, 현금거래가 중심
○ 2007년말까지 은행간 결제시스템을 총괄하는 중앙은행의 거액결제시스템이 활용되지 않음

라오스

― 라오스는 2007년 현재 금융발전의 1단계 초기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평가
○ 전반적으로 국민들이 은행을 이용한 금융거래에 익숙하지 않고, 현금거래가 중심
○ 2007년말까지 은행간 결제시스템을 총괄하는 중앙은행의 거액결제시스템이 활용되지 않음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는 현재 2단계에 있는 것으로 평가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거액결제시스템으로 ID- RTGS 시스템을 운영하여 실시각으로 금융기관간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
○ 전자식 어음교환소가 활성화되어 있고, 은행간 ATM 네트워크, 전자식 은행간 계좌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금융기관간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음
○ 최근 전자화폐나 무선결제 등과 같은 다양한 채널의 비현금결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중앙은행 역시 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

태국

― 태국은 이미 전자금융 발전의 2단계를 거치고, 이미 3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
○ 태국 중앙은행은 RTGS 시스템으로 BATHNET 시스템을 운영하여 실시각으로 금융기관간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
○ 전자식 어음교환소가 활성화되어 있고, 은행간 ATM 네트워크, 전자식 은행간 계좌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금융기관간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음
○ 최근 인터넷뱅킹, 무선결제 등과 같은 다양한 채널의 비현금결제수단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중앙은행 역시 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