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수정 국제경쟁입찰 (Modified ICB) 방식이란?

수정 국제경쟁입찰 (Modified ICB) 방식이란?

수정 국제경쟁입찰 (Modified ICB) 방식

  1. 상품/장비 구매

상품/장비 구매 시 이행국 정부는 공급 부족에 따른 리스크 감소와 가격 인하를 위해 특정 상품/장비 구매에 대해 다수 기업과 공급 계약 체결 가능하다. 특히 곡물, 사료, 식용유, 연료, 비료, 금속 제품 등은 시장 상황에 따른 가격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복수 공급자와 계약체결이 빈번하다. 동 입찰에서도 과거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품/장비 구매 건은 용역서비스 계약에 비해 공고 후 입찰 기간이 짧기 때문에 해당 기업은 관련 정보에 평소에 주의, 신속한 입찰서류 작성이 필요하다.

  1. 재주문

이미 구매/계약된 상품/장비의 부족 발생 또는 동일 상품이 긴급히 필요한 경우 이행기관은 국제경쟁입찰 절차를 생략하고 재주문 방식을 통해 계약할 수 있다. 재주문 방식은 일반적으로 기존 수주기업만 참여시키거나 5개 이하 기업의 제안서만 받아 계약자를 선정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재주문 방식은 예외적인 경우로 이행 기관과 평소 네트워크를 쌓아야 수주 가능성이 있다.

  1. 기타 입찰 방식

ICB 방법이 경제적으로 효과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기타 다양한 계약자 선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 제한국제입찰 (Limited International Bidding: LIB)

제한국제입찰(LIB)은 공고 없이 직접 ICB에 응찰사를 참여시키는 방식이다. 이 발주방법은 공급자 수가 제한적이거나 계약 규모가 작아 외국의 다수 사업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동 방식 하에서 응찰자들은 수원국 정부가 미리 조사한 경쟁력 있는 기술 및 가격 보유 기업들로 제한된다. 일단 입찰서류가 접수되면 국내제품 선호조항을 제외하고는 ICB의 절차와 동일한 방식으로 최종 계약자를 선정하게 된다.

나) 국내경쟁입찰 (National Competitive Bidding: NCB)

국내경쟁입찰(NCB)은 수원국 외 외국기업과 경쟁 시 이점이 없다고 판단되는 상품 및 서비스 계약 시 사용된다. 계약규모가 작거나 프로젝트가 지리적,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때, 노동집약적 프로젝트로 국제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조달이 가능할 때, 국제경쟁입찰보다 행정, 비용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때 동 방법이 사용된다.

다) 쇼핑 (Shopping)

쇼핑은 소수(단, 최소 세 개 이상)의 응찰 서류만을 받아 이 중 계약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구매가 용이한 기성제품, 기준 사양의 저가품 구매, 저가의 단순 토목공사 계약자 선정에 사용된다.

라) 직접계약 (Direct Contracting)

직접계약은 입찰 통한 경쟁절차 없이 특정 컨트렉터와 계약하는 방식으로 특정 상황에 활용된다.

마) 직영방식 (Force Account)

직영방식은 수원국 정부기관이 해당기관의 직원과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로 이는 건설 프로젝트에 한해 사용된다.

바) 성과기준 조달 방식 (Performance Based Procurement)

성과기준 조달 방식은 경쟁발주 방식(ICB or NCB)과 달리 제안 가격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대성과를 평가하여 계약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해당 프로젝트의 품질이 가격보다 월등히 중시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