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및 실물 인프라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유한합자회사(limited partnership), 신탁(trust), 사업개발회사(Building Development Company: BDC)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 활성화되어 있음
― 미국의 경우, 2000년대 이후 주식회사보다 합자회사, 사업개발회사, 신탁 등의 법적 구조를 가진 회사의 설립 숫자가 증가
● 기존 주식회사들은 이익잉여금을 쌓아두고 다수의 주주에게 배당 등의 형태로 낮은 수익률을 지급하고 있는 반면, 합자회사, 신탁 등은 소수의 제한된 투자자에게 비교적 단기에 높은 투자이익을 환원해주고 있어 해당 유형의 합자회사(partnership), 사업개발회사(building development company), 신탁(trust) 등의 설립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최근, 목재(timber) 및 광산업(mining)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하는 사모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실현하면서 목재펀드, 에너지 개발 인프라 펀드 투자에 관심이 증가
● 목재, 셰일가스 투자 사업은 친환경사업으로 인식되며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 정책적 관심이 증가
― 에너지 인프라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합자회사가치를 추종하는 JP Morgan Allerian MLP(Master Limited Partnership) ETN의 경우, 2015년 4월말 순자산총액은 55억달러, 일평균 거래대금은 4,320만달러로 자금조달과 지분유통이 활발함
□ 원유, 석유제품(휘발유, 경우, 등유 등), 농수산물, 금, 은 등의 귀금속, 비철금속 등의 현물 또는 선물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가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음
― 2014년말 기준, 일반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총액은 1040억달러로 전체 ETF 시장의 5% 내외를 차지하고 있음
□ 미국, 유럽, 일본 등은 일반상품 및 일반상품을 기초로 한 파생상품 등 일반상품 금융시장에 관한 규제를 갖추어 투명한 경쟁매매 환경을 촉진하고 있음
― 미국은 상품선물위원회(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ion: CFTC) 하에 1936년 상품거래법(Commodity Exchange Act: CEA)와 2000년 상품선물현대화법(Commodity Futures Modernization Act: CFMA)으로 일반상품 및 이를 기초로 한 선물시장에 대한 규제 체계를 갖추고 있음
― 유럽은 주요 금융기관인 경우, 일반상품과 관련된 투자업무를 취급하는데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며 일반회사의 경우에는 등록된 적격 참가자에 한해 OTC 일반상품 거래 수행이 가능하도록 MiFID와 EMIR 등의 법제에서 규율
― 일본은 금융상품거래법과 별도로, 일반상품을 기초로 하는 파생상품 등을 규제하는 상품선물거래법을 제정하여 일반상품 금융시장을 규제하고 있음
□ 에너지․농수산물․귀금속․비철금속 등 주요 일반상품은 글로벌 장내파생상품 거래소에서 주로 선물의 형태로 비교적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음
― 2014년 기준 일반상품 파생상품의 거래량은 약 37억 계약으로 전체 장내파생상품 거래량의 약 20%를 차지
― 특히 중국의 상하이 상품거래소, 정저우 상품거래소, 다롄 상품거래소에서 에너지, 농수산물, 귀금속, 비철금속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상품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