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자산가치평가법의 개념과 설명

자산가치평가법의 개념과 설명

 

자산가치평가법의 개념과 설명

□ 자산가치평가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빈번하고 공통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평가방법의 하나임. 자산가치평가방법의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장부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총자산가액에서 총부채가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으로 평가함.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부가액은 시가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인정된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한 재무제표에서 자산, 부채의 개별계정과목별로 이를 재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순자산가액을 평가하게 됨.

□ 주식가치평가에 있어 자산가치평가법은 다른 원칙의 Cost approach(비용접근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음.

□ 자산가치평가법은 투자 또는 부동산의 Holding Company의 평가에 적정하며 영속적으로 수익 등이 변화하는 기업으로 인식되는 Operating company에 대해서는 단독적인 평가방법이 되기에는 적절하지 아니함. 자산가치법은 기본적으로 해당자산을 통한 영업에서의 미래 기대이익으로부터의 가치가 자산매각을 통한 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사용됨.

□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에서도 비상장주식평가시 순자산가치와 순손익가치를 2:3으로 가중평균하여 비상장주식을 산출하는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음. 하지만 Operating Company가 아닌 다음에 해당하는 주식에 대하여는 순자산가액에 의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있음(상증령 54 ④)
○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표준신고기한 내에 평가대상 법인의 청산절차가 진행 중이거나 사업자의 사망 등으로 인하여 사업의 계속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법인의 경우
○ 사업개시 전의 법인,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의 법인과 휴. 폐업 중에 있는 법인의 경우
○ 평가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전 3년 내의 사업연도부터 계속하여 법인세법에 따른 결손금이 있는 법인의 경우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