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이제 한국은 우리가 접수한다" 달러 하락, 위안 상승! 중국 경제 급부상

“이제 한국은 우리가 접수한다” 달러 하락, 위안 상승! 중국 경제 급부상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세계가 뒤 흔들린지도 3년이라는 시간을 흘렀습니다. 3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이 높아지면서 위드코로나를 선포하고 코로나와 함께 사는 세상이 되었는데요. 전세계가 대부분 코로나와 함께살기를 선택하는 가운데 반대로 전면봉쇄를 통한 방역을 고수했던 나라가 중국입니다.

처음 제로 코로나 정책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보였던 방역체계라고 선전했던 중국은 순식간에 퍼지는 코로나를 막지못해 도시 봉쇄와 대규모 격리까지 감행했는데요. 더 이상 경제적으로 감당하지 못하고 국민 반발이 심해지면서 고집하던 제로 코로나를 포기하고 느슨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제로코로나, 의미 그대로 코로나 확진자가 한 명도 없게 만들겠다는 정책을 펼쳤는데요. 14억이 넘는 인구수를 생각하면 누가보더라도 불가능할 것처럼 보였던 정책을 무리하게 이행했습니다.

 

제로코로나 방역

중국이 무리하게 시행했던 코로나 정책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1. 광범위한 봉쇄 : 확진자가 단 한명이라도 발생하면 그 지역을 봉쇄하는 방법 사용해왔습니다. 봉쇄 범위가 작은 동네라면 조금은 설득이 되겠지만 도시 전체를 봉쇄 범위로 잡았다는 점은 이해가 안됩니다.(조선시대에서 역병이 퍼지면 마을 단위로 봉쇄했는데 시대가 한참 뒤떨어진 정책이네요.)
  2. 엄격했던 격리 : 확진자와 마주치지도 못할 거리에서 접촉했더라도 격리 대상자가 됩니다.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 다른 국에 비해격리규모도 상상을 초월했다고 합니다.
  3. 대규모 코로나검사 : 코로나 검사도 자주 이뤄졌는데 공공시설에 모인 적이 있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때도 음성확인서가 무조건 필요했었다고 합니다.

Vigil commemorating victims of a fire in Urumqi, in Beijing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을 정도로 숨막히는 방역 정책을 2019년부터 무려 3년 동안 시행하다가 최근 사태 심각성을 깨닳았는지 방역체계를 완화하고 있습니다. 공산주의 국가라서 시민 시위가 많지 않은 중국에서 국민들이 방역완화를 요구하는 백지 시위까지 시작했기 때문인데요.

시위가 천안문 사태 이후 가장 격렬한 반정부 시위가 될 수 있었을 만큼 심상하지 않았었습니다. 14억 인구가 들고 일어난다면 엄격한 중국 정부라도 불안하기 때문에 결국 봉쇄 범위를 아파트 동이나 라인으로 감소시키고 음성 확인서가 없더라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China Covid: Clashes in Shanghai over lockdown evictions - BBC News

 

 

제로코로나 정책의 대가는 경기 침체

국민 시위가 거세지는 이유로 방역 완화를 결정했지만 시위가 아니였어도 중국은 이미 정책으로 경제적문제가 한계까지 몰린 상황입니다. 이 정책을 통해서 감당이 안되는 큰 타격을 얻고 있기 때문인데요.

무서울 정도로 성장하던 경제도 방역 정책과 같이 봉쇄되어버렸습니다. 극단적인 방역의 대사는 GDP 성장률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중국 당국은 올해 성장률이 5.5%는 될거라고 전망했었는데요. IMF와 세계은행은 3% 안팎을 예상하고 있습니다.코로나 직격타를 맞았던 2020년을 제외해도 지난 40년 동안 급격한 성장을 하던 중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되는겁니다.

사실 현재 경제상황을 본다면 실제로 성장률은 예상보다 더 낮을 거라고 예상됩니다. 연이은 도시 봉쇄로 소비시장 전반이 침체하고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게 될 거로 보이는데요.

그 중 가장 큰 타격은 요식업과 숙박업으로 올여름부터 조금씩 회복세를 보였으나 현재는 다시 하락세를 걷고 있고 공장도 업장이 봉쇄되는 경우아 잦아지면서 실업률도 올라가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침체로 알리바바와 텐센트 같은 중국 대기업은 직원을 대규모로 해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애플과 구글도 불안정한 중국경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서 공장을 발빠르게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기고 있고 일본, 대한민국의 기업들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공장을 이동하는 움직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中 알리바바·텐센트 '무한성장' 끝나나…역대 첫 매출감소 전망 | 연합뉴스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는 많은 기업들이 봉쇄피해를 무시할 수 없었는 상황입니다. 특히 애플은 폭스콘 공장이 완전히 패쇄되면서 아이폰 생산 물량 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수 많은 기업들이 탈중국을 선언하고 동참하고 죠.

중국은 사태의 심각성을 뒤늦게 깨닳고 방역정책 완화를 시작했는데요. 완강하게 제로코로나를 고집했었는데 위드코로나를 선포하면서 경제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해지고 홍콩 항셍지수, 상하지종합지수는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관행 중국

미국 월가도 중국 증시를 예의주시하기 시작했는데요. 저평가되던 중국 기업의 주가들이 방역 완화를 통해서 반등할거라고 판단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방역 완화가 바로 눈으로 보이는 결과는 나타내지는 못할 거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위드코로나로 곧바로 전환을 한다고 해도 14억 인구가 감당해야하는 시행착오는 결코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앞으로 위드코로나를 선포한 중국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많은 귀추가 주목됩니다.

 

머니위키였습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