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지식기반경제의 특성와 변화 현황

지식기반경제의 특성와 변화 현황

지식기반경제의 특성

□ 공유와 응용을 통한 지식기반경제의 성장 및 지식 재화의 상대성과 높은 유동성
○ 희소성(scarcity)이 아니라 풍부성(abundance)의 가치가 적용되며, 대부분의 자원은 사용하면 사라지지만 정보와 지식은 공유와 응용을 통해 성장
○ 지리적 위치의 효과 (The effect of location) 측면에서, 지리적 위치의 효과가 줄어드는 분야가 있음. 적절한 기술과 방법을 사용하여 가상 시장과 가상 조직이 속도의 편익을 제공하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하나의 시장을 만들 수 있음 그러나 오히려 지리적 효과의 중요성이 강조될 수도 있음. 지식 중심축 주변에 기업 클러스터가 만들어질 수 있음. 단 이러한 클러스터는 이미 지식경제이전에도 존재했음.

○ 법, 장벽, 조세 기타 측정방법 등이 하나의 국가에만 적용될 수 없으며, 지식과 정보는 수요가 가장 높고 장벽이 가장 낮은 곳으로 이동
○ 지식 재화는 지식 또는 그 집중도가 낮게 배태된 상품에 대해 가격 프리미엄을 가짐
○ 가격과 가치는 맥락에 의존하며, 같은 정보 또는 지식이라도 사람에 따라, 같은 사람이라도 시간에 따라 그 가치가 다름
○ 지식기반 사회에서 인간자본(human capital, competencies)은 가치의 핵심 요소로 인식 그러나 기업들은 연례보고서에 직원들의 역량 수준을 보고 하지 않음. 오히려 감축을 비용 감소의 긍정적 측정치로 볼 때도 많음
○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지식의 흐름에 근본적 기초를 제공함. 사회구조, 문화적 맥락, 기타 사회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지식 경제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특성은 정책결정자들, 관리자들, 그리고 지식 근로자들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

□ 세계화 및 정보기술의 발전, 새로운 매체의 개발 등을 통한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 가속화
○ 시장과 생산물은 더 세계화되는 가운데, 오늘날에 있어 효율적 생산은 정보와 노하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선진국 근로자들의 70%이상이 정보 근로자들임
○ 새로운 매체는 지식의 생산과 배분을 증가시키고 결국 집단적 지능을 가져오며, 현재의 지식은 네트워크화된 D/B 가 사용자와 생산자 간의 온라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때문에 접근하기에 훨씬 쉬워짐
○ 결과적으로 재화는 전자적 네트워크에 의해 발전, 구매, 판매, 전달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의 응용은 이것이 어떻게 경제적 수요를 충족시키는가에 의존

□ 전세계적인 지식기반산업구조로의 전환 경향
○ 이와 같이 심화되는 세계화와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제경쟁 속에서 선진국은 지식재산기반의 비교우위적 경쟁력을 갖춘 산업구조로 변화하고 있음 Council on Competitiveness(2004)는 치열한 기업간 경쟁의 구체적인 사례로 다음 다섯 가지를 들고 있음. 첫째, 국가별 특허소유권 비중(미국의 특허의 1/2가량이 외자 기업 또는 외국 국적을 가진 개인에 의해 소유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일본, 한국, 대만 등 3개국이 전체의 1/4를 차지함), 둘째, R&D 지출 규모(스웨덴, 핀란드, 이스라엘, 일본, 한국의 GDP 대비 R&D 투자 비율이 미국을 상회하고 있음). 셋째, 중국의 대외직접투자(중국의 대외직접투자가 2003년 세계 1위를 차지함) 넷째, IT기업의 경쟁력(세계에서 경쟁력이 있는 IT기업 25개사 가운데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은 6개사에 불과하며 14개는 아시아에 존재함), 다섯째,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아시아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액은 미국에 필적함).
-더욱이 물적 자원이 부족하고 이에 비해 인간자본이 풍부한 한국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의 산업구조를 지식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해야한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음

○ 지식기반 산업이란 새로운 기술과 인적 자본의 투입이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산업을 의미
-R&D 의존도가 높은 의약품, Digital Contents, IT Consulting, Nano Tech, 교육 영화산업 등이 여기에 속함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