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키컨설팅 서비스 입찰 방식이란?

컨설팅 서비스 입찰 방식이란?

컨설팅 서비스 입찰 방식이란?

ADB가 지원하는 컨설팅서비스 조달은 ADB 컨설턴트 선발위원회(ADB Consultant Selection Committee)가 중점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자금조달은 주로 ADB의 자체자금 및 회원국의 비구속성 신탁기금(Untied Fund)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컨설턴트(엔지니어링, 설계 포함) 선정을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입찰의향서(Expression of Interest: EOI) 평가 → Short List 작성 →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 작성 배포 → Proposal 평가

입찰공고가 나면 참가 희망기업은 EOI를 제출, ADB는 이를 평가하여 Short List를 작성한다. Short List는 일반적으로 5~6개사를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RFP를 발송, 정식 Proposal을 받게 된다.

EOI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은데 가장 중시되는 요소는 회사의 기본 역량에 더해 해당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인근 지역에서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지(컨설팅사, 특히 Team Leader의 경험 정도가 중요 판단 요소)의 여부이다.

-관리요소(Management Competency) : 20%
◆ Background & experiences of senior management relevant to the TOR(Terms of Reference): 10%
◆ Management Coordination: 5%
◆ Quality Control: 5%

-기술요소(Technical Competency) : 60%
◆ Firm’s specialization vs the sectoral focus of the assignment: 10%
◆ Firm’s experiences vs the assignment’s TOR(Terms of Reference), 유사프로젝트 경험 유무: 30%
◆ Lead Partner로서 유사 프로젝트 수행횟수: 15% (정량평가)
◆ Associate, JV Partner로서 유사 프로젝트 수행횟수: 5% (정량평가)

-지역요소(Geographical Competency) : 20%
◆ Firm’s country experience: 10%
◆ Regional experience: 5%
◆ 현지 사무소 보유 여부: 5%

Short List 기업에 포함된 기업은 RFP에 의해 Proposal을 작성하게 된다. 제안서에는 가격제안서와 기술제안서가 있는데,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비가격 요소가 업체 선정에 더 중요하게 반영된다. 이 역시 PM들의 안정성 선호 성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컨설팅 계약의 경우 비가격 요소 평가 비중이 7:3, 8:2 정도로 더욱 높다. 가격이 낮다고 수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 품질가격평가 선정방식(Quality and Cost Based Selection: QCBS)

QCBS는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약자 선정, 평가방식이다. 해당 컨설팅 서비스가 가격과 서비스 질 면에서 비슷한 비중을 갖고 있을 경우 컨설턴트를 선정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동 방식은 컨설팅 서비스의 품질과 가격을 동시에 평가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컨설턴트를 해당 프로젝트의 컨설턴트로 선정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가격보다는 비가격 요소 즉, Team Leader가 누구냐 등 품질(비가격) 요소가 훨씬 중요하게 반영된다. 이는 PM들이 검증된 기업과 일하기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PM들은 후보기업들 간 품질평가에서 점수 차를 크게 벌리는 방식 등을 통해 가격요소로 순위가 바뀌는 것을 피하려고 한다. 위 방식은 기술제안서의 품질과 비용을 모두 고려하는 방법으로 기술제안서 평가, 예산제안서의 공개적 개봉, 예산제안서 평가 종료 등과 같은 4개 단계로 구분한다. 1,000점 만점을 기준으로 750점 미만으로 점수를 받은 후보는 심사에서 제외된다.

나) 품질평가 선정방식(Quality Based Selection: QBS)

QBS는 해당 프로젝트에 있어 컨설팅서비스의 품질을 최우선시 하는 경우 사용하는 방식으로 우선 응찰자들의 컨설팅 서비스 질을 비교 평가한다. 따라서 기술제안서의 품질을 기반을 두어 컨설팅업체를 선정하기 때문에 컨설팅서비스 품질을 가장 중요시 평가하는 방식이다. 특히 과거에 많이 사용되었던 방식으로 후보기업의 순위를 매겨 1위 기업부터 가격 등을 협상하게 된다. 주로 규모가 크고 기술력이 중시되는 프로젝트에 적용된다.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컨설턴트에게 가격제안(Financial Proposal)을 받고, 이를 토대로 협상을 통해 컨설턴트를 선정한다. 위 방식은 디자인이 잘못되거나 혹은 실패할 경우, 과업수행의 질이 비용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과업이 복잡하고 난해하거나 전문적이어서 과업이 실패할 수 있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사업자를 선정하는데 사용하는 방식이다.

다) 가격확정 선정방식(Fixed Budget Selection: FBS)

FBS는 프로젝트 수행예산이 일정액으로 고정되어 있을 때, 해당 예산 범위 내에서 컨설턴트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컨설팅 서비스 품질을 우선 평가한 후 가격제안을 받아 정해진 예산 범위 내 가격에 응찰한 컨설턴트를 선정하게 된다. QCBS 방식과 유사하지만 최종 점수에 예산입찰의 비중이 없고 컨설턴트업체의 기술제안입찰에 의해 순위를 결정한다. 위 방식에 유사한 과제유형은 시장분석을 포함한 설문조사, 간단한 사전 타당성조사와 기존 타당성조사 검토 및 환경조사와 간단한 인프라 설계에 적합한 방식이다.

라) 최저 가격 선정(Least Cost Selection: LCS)

LCS는 컨설팅 서비스의 품질보다는 저렴한 가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프로젝트에 대해 컨설턴트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응찰자가 일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만 충족시킬 수 있으면 최저 가격을 제시한 응찰자를 컨설턴트로 선정하게 된다. 1차 통과된 컨설팅업체 중에서 기술적으로 자격이 있는지를 심사하고 최저비용에 입찰한 컨설팅업체 선택하는 데 적합한 과제의 유형은, 규모가 작고 예산이 10만 달러 이하의 사업이거나 통상적이거나 표준화된 사업 또는 실패의 위험이 낮은 사업과 같은 경우와 같다. QCBS 방식과 차이점은 최저가격의 예산제안서를 평가하고 기술제안서 또는 기본계획서에 사소한 작업이나 항목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 누락된 항목의 비용을 제안서에 합치기도 한다.

마) 서비스 이력 평가 방식(Consultant’s Qualification Selection: CQS)

CQS는 컨설턴트의 프로젝트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비교적 약식으로 컨설턴트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위 방식은 광범위하고 상세한 사업 참여 의향서(EOI)를 표준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하게 한 다음 사업에 가장 적합한 컨설팅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 때 20만 달러 이하의 소규모 사업이나 경쟁입찰방식이 불필요한 사업, 혹은 단기간 사업이나 특정한 영역에 전문성이 있는 소수의 자격을 갖춘 컨설팅업체가 필요한 경우에 위 방식을 사용한다. QCBS와의 차이점은 ADB 또는 가장 적합하게 작성한 사업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컨설팅업체의 기술제안서와 예산제안서만을 검토한다.

바) 수의계약 방식(Single Source Selection: SSS)

위 방식은 응찰자 간 경쟁이 없거나 해당 프로젝트가 이전 프로젝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이전 컨설턴트와 재협상을 통해 계약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공개경쟁 없이 컨설팅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거나 민감하지 않은 프로젝트 수행에서 사용된다. ADB 또는 실행기관은 한 컨설팅업체에게만 기술제안서와 예산제안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위 방식이 적합한 사업은 사전작업이 성공적으로 종료되거나 컨설팅업체 자격조건이 특별한 경우, 작은 규모의 사업, 해당 컨설팅업체에 의해 이루어진 프로젝트가 후속작업에 이어 수행될 때 혹은 긴급하고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이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